
스터디원의 발표를 통해 Docker를 알게 되고 실질적으로 사용해보고 싶었다. 토이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Docker를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H2 를 컨테이너로 띄워서 적용해보았다. (저처럼 Docker 뭔지 감 잡고 싶으신 분들에게 하나씩 도커 컨테이너로 띄워서 적용해보길 추천합니다. ) 현재 윈도우10에서 WSL2 우분투 터미널로 Docker를 사용중이다. 1. H2 database 로컬에서 개발시 가볍게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H2 를 설치해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로컬에 설치한 H2 대신 도커로 H2 컨테이너를 하나 생성해 프로젝트에서 활용하고 싶었다. 참고 : docker hub 사이트의 h2 도커에서 아래 명령문 하나면 h2를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 가능하다. step1. h2 이..

상황 내 컴퓨터(로컬)에서 열심히 프로젝트 생성하고 코드도 작성했다. 이제 깃헙 레포지토리에 올려서 관리하고 싶다. 1. 깃헙에 로그인 후 새로운 Repository 생성 * README 파일 또는 .gitignore 파일 add 필요 없음 * Create 후 나오는 원격 저장소 주소 복사해두기 (ex. https://github.com/XXXXXX.git) 2. 로컬 프로젝트에서 git-bash 열어서 git 저장소 생성 (기존에 이미 git 저장소 생성 및 커밋을 했다면 3번까지 skip) 해당 프로젝트 최상단에서 git-bash 열어서 git 저장소 생성 git init # .git 파일 생성 확인 ls -al 3. 파일 하나 커밋하기 (보통 README.md 또는 .gitignore) 예시로 .g..
정말 오랜만에 java의 정석을 정독하는 중(왜 이제서??)이다.교육다니면서 필요한 부분만 읽다보니 이곳 저곳 자바에 대한 구멍이 많은 느낌. 오늘은 객체지향프로그래밍 관련 내용, 특히 메서드에 대해서 공부했다.그러다가 예전 코딩테스트때 메인메서드에서 내가 만든 메서드를 쓰려고 하면 static을 붙여야 했던게 생각남그때는 그냥 static 메서드니깐~~ 이러고 지나갔는데 (미쳤지) 일단,클래스 영역에 선언된 변수들 중에 static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클래스변수라고 지칭한다.(static 변수가 없으면 인스턴스변수)단어를 통해 변수를 추측해보면 인스턴스변수 :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인스턴스와 관련된 변수. 인스턴스들마다 다른 값을 가진다.클래스변수 : 클래스 자체와 관련된 변수. 인스턴스를 여러개 생성..
오늘 db 관련 책을 읽다가 문득 면접때 기억이 떠올라 후다닥 기록... 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는 SQL만 공부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항상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기능이나 아키텍쳐, 비용에 관한 전반적인 공부를 하고싶었다. 그러다가 데이터베이스 첫걸음이라는 책을 알게 되었고 어느때보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고 이해할 수 있었다.(나와 같이 첫걸음이 어려우신 분들... 시작이 반입니다. 추천 드립니다) 오늘 읽은 내용중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계층 구조에 대한 내용을 읽게 되었는데 면접때 대답하지 못햇던 질문이 순간 생각이 났다. "지원자께서는 교육에서 오라클을 배웠고 프로젝트는 PostgreSQL, 스터디로 진행한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MySQL을 사용하셨는데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실 수 있나요?" "..." ..
AWS 계정을 만들때 입력한 신용카드에서 1 달러가 결제되는건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것이다. 그런데 필자는 1+1 행사도 아니고 두번 결제가 된 경우였다. 나니? 수요일은 AWS 계정을 만든날이었는데 일주일 뒤 결제가 또 되었던것... 당황해서 공식 페이지에서 결제 관련 정보를 뒤지는데 혹시 누군가가 내 카드 정보를 갖고 계정을 하나더 만든건 아닌지.. 라는 불길한 기분이... 불안은 더 큰 불안을 만든다고 했나..... 카드 정보가 털렷다 생각하니 더 불안해졌다. (잔액도 없으면서) 불안은 나에게 용기를 주셨다. 그냥 AWS에 문의 메일을 넣기로 했다. "수요일에 계정을 만들었는데 일주일 뒤 또 다시 원달러 결제 되었어. 왜 이런거야? 내 카드 정보 털린거야? 너무 불안해.. 빨리 알려줘" 메일을 작..
아마존 S3 공식 문서로 시작하기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본적인 게시판 형식의 첨부파일을 로컬이 아닌 아마존 S3에 업로드 되도록 하려고 했다.역시 삽질의 왕 답게 처음 인증하는 단계에서만 하루는 보냈다.(처음이니깐.. 이라는 스스로 위로를... ㅋㅋ) 그 기록을 남겨보려 한다. 처음 아마존 공식 문서를 보면서 해내겠다는 의지로 시작을 했다. (왜그랬냐) AWS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개발을 하려면 AWS SDK를 이용해야 한다.AWS SDK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언어가 있지만 나는 JAVA 기반의 웹개발을 진행하므로 AWS SDK for Java를 본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sdk-for-java/v1/developer-guide/getting-started..